MB해외자원외교비리! 국민세금 4조5천억원 증발에 걸린시간 단 3일, 한국석유공사 부실화의 진실 (2)
본문
[MBC 주진우&김의성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4회]
1. 물 98%, 석유 2%... 하베스트, 유전인가 우물인가?
2. 론스타 사태의 주범, 대한민국 모피아
1. 물 98%, 석유 2%... 하베스트, 유전인가 우물인가? - 권희진· 고은상 기자
석유공사가 지난 2009년 4조5천억 원에 매입한 캐나다 유전 하베스트. 그런데 현재 하베스트 유전에서 나오는 건 석유 2%에 물이 98%. 배럴당 60달러 선인 현재 국제 원유가로는 경제성이 완전히 없어진 상태다. 유정(油井)이라기보다는 차라리 ‘우물’이라고 하는 게 더 걸맞은 상황. 그런데 이미 지난 2009년 구입 당시에도 하베스트 유전은 대부분이 ‘노후 광구’였다.
석유공사가 하베스트를 매입할 당시 주간사는 메릴린치. 메릴린치는 이러한 사실을 알고도 석유공사에 낸 하베스트 평가보고서에 하베스트의 유전의 경제성이 없다는 사실을 숨겼다.
메릴린치에는 MB 집사인 김백준의 아들 김형찬 씨가 있었다. 게다가 하베스트 매입은 청와대에서 직접 챙긴 프로젝트였는데...
석유공사가 하베스트를 매입할 당시 주간사는 메릴린치. 메릴린치는 이러한 사실을 알고도 석유공사에 낸 하베스트 평가보고서에 하베스트의 유전의 경제성이 없다는 사실을 숨겼다.
메릴린치에는 MB 집사인 김백준의 아들 김형찬 씨가 있었다. 게다가 하베스트 매입은 청와대에서 직접 챙긴 프로젝트였는데...
2. 론스타 사태의 주범, 대한민국 모피아 - 양윤경 기자
외한은행을 사고팔아 4조7천억 원의 이익을 챙겨 간 사모펀드 론스타. 그 론스타가 한국 정부를 상대로 5조원을 더 내놓으라는 소송을 국제중재재판정에 냈다. 한국 정부가 자신들을 괴롭혀 손해를 봤다는 논리다. 그런데 론스타는 금산분리 정책에 따라 처음부터 은행을 소유할 수 없었던 산업자본이었다. 외환은행을 인수한 뒤, 금산분리법이 엄격히 시행되는 미국에서 론스타는 외환은행 지점 5개의 문을 닫았다. 대신 론스타가 미국에 세운 것은 3개의 대부업체. 문제는 이 모두가 재경부 등 한국 정부 관료들, 이른바 ‘모피아’와 정책적 협의를 거쳐 진행된 것이라는 사실이다. 거액의 국부 유출에 책임을 져야 할 모피아들이 어떻게 승승장구했는지 고발한다.
[스트레이트 3회] MB해외자원외교, 막장 인수 하베스트, 검은 고리 ‘랜드맨’을 찾아라!
김의성, 주진우 스트레이트 3회 ↓바로보기↓
http://publicunion.kr/gnu/bbs/board.php?bo_table=data_video&wr_id=11
유튜브 동영상 주소 : https://youtu.be/VXdQ4milhV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