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위기라는 과학적 현상뿐 아니라 세계 주요 정부의 정책과 시장의 변화는 우리를 기다려주지 않고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 기후위기 대응은 지구 위 생명의 생존을 위한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고 있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저소비형 산업과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은 산업 및 노동에 중요한 변동 요인이 되고 있다. 우리의 대응이 늦을수록 한국의 노동자와 사회적 취약 집단에게 다가올 피해는 더 크고 급작스러울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국제 사회의 의무와 한국의 현실 사이에서 지혜로운 해법을 찾아야 한다. 한국에서도 기후위기에 대응하여 문재인 정부에서 한국판 그린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