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적자본이론(human capital theory)에 의하면 개인의 생산성 내지는 노동력의 질은 개인의 능력·숙련도, 그리고 교육수준 등에 의해서 결정되며 그중 교육수준은 생산성뿐 아니라 임금에도 밀접한 영향을 주는 핵심요인으로 꼽힌다. 물론 교육수준이 생산성과 무관하고 단순히 유능한 인재를 식별할 수 있는 신호효과(signaling effect)에 그친다고 주장되기도 하나, 2018년 우리나라 고졸 노동자들의 시간당 평균임금은 대략 1만5천원, 대졸 2만4천원, 대학원졸 3만7천원인 통계청 자료(2019)를 보면 우리나라에서 교육수준은 전통적 인적자본이론을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