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마당

한국노총은지금

Home > 소식마당 > 한국노총은지금

한국노총 -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신임 부위원장 간담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18-04-06 11:30

본문

한국노총 -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신임 부위원장 간담회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 "노사, 대기업·원하청간 상생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 필요"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고용문제는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로 실질적인 일자리 창출 정책 추진할 것"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신임 부위원장은 4월 6일(금) 오전 한국노총을 방문해 김주영 위원장 등 임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일자리 정책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목희 부위원장은 지난 2일 취임 이후 처음으로 노동계를 방문했다.

 s_IMG_1533.JPG

 

이날 간담회에서 김주영 위원장은 “현재 일자리위원회가 개점휴업 상태라는 평가가 많다”면서 “일자리 창출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일자리위원회의 많은 역할을 바란다”고 밝혔다.

 

특히 “대기업의 이윤을 복지시설로 하청업체들에게 나누는 등 상생의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며 “원하청간 불공정거래는 오랜기간 묵은 과제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주영 위원장은 사회서비스분야 공공부문 일자리에 대해 “공공인프라 확충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사회서비스공단 설립이 필요하나 현재 진흥원으로 바뀌어 논의되고 있어 우려스럽다”면서 “현재 노사정위원회조차 두달동안 이름조차 확정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s_IMG_1590.JPG

 

이에 대해 이목희 일자리위 부위원장은 “어느 나라나 양질의 일자리을 만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국민들이 보기에 부족함이 많다는 것에 동의한다”고 전제하고, “현재 소방, 복지, 근로감독관 등 OECD 평균의 40%에도 못 미치는 공공부문의 일자리를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이어 “공공서비스 일자리는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고, 재벌대기업과 중소기업·하청업체가 상생할 수 있도록 선순환 경제구조를 만들어 갈 것”이라며 “비정규직, 특수고용직, 사내하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실질적인 정책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현재 노동계 내부에서 논의되고 있는 연대임금 정책은 사업장내 격차를 해소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고, “IMF 이후 고용문제는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로 실질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s_IMG_154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