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신임 부위원장 간담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18-04-06 11:30관련링크
본문
한국노총 -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신임 부위원장 간담회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 "노사, 대기업·원하청간 상생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 필요"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고용문제는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로 실질적인 일자리 창출 정책 추진할 것"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신임 부위원장은 4월 6일(금) 오전 한국노총을 방문해 김주영 위원장 등 임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일자리 정책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목희 부위원장은 지난 2일 취임 이후 처음으로 노동계를 방문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김주영 위원장은 “현재 일자리위원회가 개점휴업 상태라는 평가가 많다”면서 “일자리 창출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일자리위원회의 많은 역할을 바란다”고 밝혔다.
특히 “대기업의 이윤을 복지시설로 하청업체들에게 나누는 등 상생의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며 “원하청간 불공정거래는 오랜기간 묵은 과제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주영 위원장은 사회서비스분야 공공부문 일자리에 대해 “공공인프라 확충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사회서비스공단 설립이 필요하나 현재 진흥원으로 바뀌어 논의되고 있어 우려스럽다”면서 “현재 노사정위원회조차 두달동안 이름조차 확정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목희 일자리위 부위원장은 “어느 나라나 양질의 일자리을 만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국민들이 보기에 부족함이 많다는 것에 동의한다”고 전제하고, “현재 소방, 복지, 근로감독관 등 OECD 평균의 40%에도 못 미치는 공공부문의 일자리를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이어 “공공서비스 일자리는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고, 재벌대기업과 중소기업·하청업체가 상생할 수 있도록 선순환 경제구조를 만들어 갈 것”이라며 “비정규직, 특수고용직, 사내하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실질적인 정책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현재 노동계 내부에서 논의되고 있는 연대임금 정책은 사업장내 격차를 해소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고, “IMF 이후 고용문제는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로 실질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