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마당

주요소식

Home > 소식마당 > 주요소식

정부 임금체계개편 추진 대비 정책연구 용역 시행

작성일
2018-07-25 12:28:02
작성자
정책실
◆정부 임금체계개편 추진 대비 정책연구 용역 시행◆

연맹은 작년 총연맹 중앙연구원과 함께 학계 전문가가 참여한 ▶직무급을 중심으로 한 공공부문 임금체계 개편 연구를 진행하여 공공부문 임금체계개편의 전제조건, 획일적인 직무급제 도입의 문제점, 해외 사례 등을 점검하였습니다.

또한 연맹은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한 정부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공공부문 임금체계개편 추진에 대한 대응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였습니다.

최근 연맹은 7월 23일 "김동연, 공공기관 호봉제 폐지 속도낸다" 언론보도를 계기로 기획재정부의 움직임이 매우 빨라지고 있음을 포착하였는 바, 연맹의 임금체계개편 대응전략에 따라 7월 27일부터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와 ▶공공부문 임금체계개편(안) 고찰 및 공공기관 임금체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기획재정부의 임금체계개편 추진에 적극 대응하고자 시행하는 당해 연구에는 고려대학교 조대엽 노동대학원장님이 책임연구자로 직접 참여하여 연구의 권위를 높혀 주실 예정이며, 작년 연구용역에서 도출된 임금체계개편의 전제(직무분석 및 직무평가의 어려움 등)를 분석함과 동시에 기획재정부(안)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공공노동자의 정당한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정책대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회원조합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 관련 언론보도 - 2018.7.25. 매일노동뉴스
공공기관 임금체계 개편 추진에 공공노련 대응 본격화 http://me2.do/FVftJ6ox
 

공공기관 임금체계 개편 추진에 공공노련 대응 본격화
-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에 연구용역

기획재정부가 추진하는 공공기관 직무중심 임금체계 개편과 관련해 공공노련(위원장 박해철)이 본격 대응에 나섰다. 연맹은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소장 조대엽)에 연구용역을 맡겨 정부의 ‘공공기관 합리적 보수체계 표준모델(안)’과 임금체계 개편 추진 절차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대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연맹은 24일 “정부의 보수체계 표준모델안에 대한 학술적 점검을 통해 공공노동자의 정당한 권익을 보장함과 동시에 공공부문 보상체계를 합리화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겠다”며 “공공기관 임금체계의 현실적 발전방안을 함께 모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맹은 이달 27일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와 연구용역 계약을 체결한다. 연구책임자는 조대엽 소장이다. 노동문제연구소는 다음달부터 5개월 동안 연구작업을 수행한다. 지난해 연맹과 한국노총 중앙연구원이 낸 ‘직무급을 중심으로 한 공공부문 임금체계 개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임금체계 개편 방향을 검토한다. 연구소는 주요 공공기관 사례를 조사해 직무기반 인사·평가제도의 운영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다. 9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정책토론회를 하고 올해 말 최종보고서를 낼 계획이다.

연맹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 당시 기재부가 성과연봉제를 추진할 때 노동계가 제대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속수무책으로 당했다”며 “이번에는 체계적 연구를 통해 공공기관의 바람직한 임금체계 개편 방안을 노동계가 찾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윤자은기자 bory@labor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