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회원가입
검색어
필수
연맹소개
위원장 인사말
창립선언문
상징/선언/강령
연혁
조직도
규약
임원/대표자/사무처간부
분과위원회현황
지역본부현황
회원조합현황
오시는 길
소식마당
공지사항
주요소식
현장의 소리
성명서/보도자료
일정
자료마당
노보
소식지
사진
동영상
자료실
열린마당
365 노무 Q&A
제안합니다
현장게시판
할인협약
e-book
제휴업체
조합원증보기
소식
마당
공지사항
주요소식
현장의 소리
성명서/보도자료
일정
주요소식
Home > 소식마당 > 주요소식
우리연맹, 전태일과 함께 새 시대를 힘차게 열어간다
작성일 : 2017-07-27
우리연맹, 전태일과 함께 새 시대를 힘차게 열어간다- 전태일재단과 적극적 연대사업 위한 협약식 체결 금일 오후 2시 한국노총 6층 대회의실에서는 ‘전태일과 공공노련 친구맺기’ 협약식이 진행됐다. 이날 협약식에는 박해철 위원장을 포함한 회원조합의 대표자 동지들과 전태일재단의 이수호 이사장, 박계현 사무총장 등 재단 관계자들이 함께 자리했다.박해철 위원장은 인사말에서 “전태일 정신을 알려내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꾸준히 펼쳐온 재단의 동지여러분께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면서 “공공노련은 전태일 정신을 계승발전하여 공공부문 노동운동을 선도하고 전태일과 함께 새로운 시대로 함께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오늘 우리연맹과 전태일재단이 친구맺기 협약을 체결한만큼 앞으로 회원조합에서도 적극적인 연대활동 참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전태일재단 이수호 이사장은 “노동자들은 어려울때 전태일을 기억하면서 견뎌왔고 끝내 지난 촛불혁명, 시민대혁명을 시민들과 함께 이뤄냈다”면서 “이렇듯 조금씩 살기좋은 세상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믿음속에서도 우리는 더욱 힘차게 전태일이 꿈꾸던 세상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우리의 노동운동, 그리고 우리의 사회를, 우리가 함께하는 이 세상을 연대하며 지켜나가자”고 말했다.전태일재단은 전태일과 관련된 기념 및 추모행사 등을 주도하고 전태일이 살아가며 우리에게 보여준 풀빵나눔 정신을 실천하며 장학사업 등 상대적으로 열악한 노동자 지원, 외국인노동자 지원사업 등 전태일 정신에 따른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전태일 재단 활동에 대한 참여는 연맹은 운영단체로, 회원조합은 회원단체로 가입하고 조합원 동지들에게 개인회원 가입을 독려하는 등의 형식이며 조합원 개인회원의 가입은 월 3천원, 5천원, 1만원 후원 등으로 진행된다.우리연맹은 전태일 재단이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노동, 인권․민주주의’를 주제로 현장교육을 진행하는 등의 교육사업과 비정규직, 이주노동자, 청년, 신생노조 등 불평등구조 속에서 소외 당하고 있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원사업 등이 확대될 수 있도록 적극 연대한다는 계획이다.[전태일재단 후원계좌안내]전태일재단우리은행 1005-201-664676
양대노총 공대위, 한국석유공사 김정래 사장 등 적폐기관장 10명 명단 발표
작성일 : 2017-07-18
양대노총 공대위, 한국석유공사 김정래 사장 등 적폐기관장 10명 명단 발표 - 공공기관장 인선은 "촛불정신에 따른 적폐청산"이 최우선 가치 - 국정농단 연루, 불법과 탄압을 일삼은 적폐기관장 즉시 퇴출돼야 양대노총 공공부문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는 금일 오전 10시 한국노총 6층 대회의실에서 '공공대개혁을 위한 적폐기관장 사퇴촉구 1차 기자회견'을 개최했습니다. 박해철 위원장은 "적폐기관장의 경영농단으로 인한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공부문에 가장 시급히 적폐를 청산해야할 기관장 명단을 발표한다"라면서 "적폐기관장들이 스스로에 대한 부끄러움을 조금이라도 안다면 지금이라도 즉시 사퇴하기 바란다"고 촉구했습니다. 이날 공대위가 발표한 적폐기관장은 ▲홍순만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사장 ▲유제복 코레일유통 대표이사 ▲김정래 한국석유공사 사장 ▲김옥이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이사장 ▲서창석 서울대병원 원장 ▲방하남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박희성 한국동서발전 사장 직무대행 ▲이승훈 한국가스공사 사장 ▲정영훈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이사장 ▲이헌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 등 입니다. 관련 기사를 첨부합니다. [뉴스1] 양대노총 "국정농단 연루 적폐기관장 즉시 퇴출돼야" http://news1.kr/photos/view/?2640881 [뉴스1] 발언하는 박해철 위원장 http://news1.kr/photos/view/?2640883 [연합뉴스] 양대노총, '적폐 공공기관장' 1차 명단 발표 http://v.media.daum.net/v/20170718104647430?f=o [연합뉴스] 양대노총, '적폐 공공기관장' 사퇴 촉구 http://v.media.daum.net/v/20170718104729462?f=o [뉴스1] 양대노총 "적폐 공공기관장 10명 선정.. 공공대개혁 위해 사퇴해야" http://v.media.daum.net/v/20170718113355612?f=m&rcmd=rn [청산대상 적폐기관장 명단] □ 한국석유공사 김정래 사장 ㅇ 성과연봉제 강제도입을 위한 불법행위 자행 및 미폐기 입장견지로 新정부 국정철학에 따른 정책수행 거부 ㅇ 학교동문·현대그룹 출신 등 측근 4명에 대한 특혜채용, 밀실경영 및 울산사옥 매각시 투기자본 특혜, 외유성 출장시 7성급 호텔 숙박(1년간 해외출장비만 약 1.5억원 지출) 등 모럴해저드 및 적폐의 집합체로 고용노동부에서 특별근로감독 대상으로 점검 중(7.18~21) □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정영훈 이사장 ㅇ 성과연봉제 강제도입을 위한 불법행위 자행 및 미폐기 입장견지로 新정부 국정철학에 따른 정책수행 거부 ㅇ 황교안 직무대행이 임명한 대표적인 적폐세력 알박기 인사 □ 한국철도공사 홍순만 사장 ㅇ (‘16년) 성과연봉제 강제도입을 위한 불법행위, 합법파업 불법매도, 대량해고 등 부당노동행위 자행, 국회 중재 요청도 거부하며 (무리한 대체인력 투입으로) 파업 장기화를 의도적으로 유도, 국민 안전 위협 ㅇ (‘17년) 단체교섭 지속 해태, 비정규직 정규직화 전환에 미온적 태도 견지, 노동에 대한 적대적 인식하에 공공기관 노사관계 파괴 도모, 중대재해사고(5.30, 6.28) 이후 (안전 대책은 뒤로 하고) 개인에 대한 책임전가에만 급급 □ 코레일유통 유제복 사장 ㅇ 성과연봉제 강제도입을 위한 불법행위 자행 및 미폐기 입장견지로 新정부 국정철학에 따른 정책수행 거부 ㅇ 국정농단세력에 의한 낙하산인사로 또 다른 적폐기관장인 한국철도공사(코레일유통 대주주) 홍순만 사장과 결탁하여 경영농단 자행, (사장외 상근임원 2인도 국정농단세력에 의한 낙하산 인사 추정) □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김옥이 이사장 ㅇ 성과연봉제 강제도입을 위한 불법행위 및 부당노동행위 자행(성과연봉제 동의서명 강요, 스토커수준 문자메시지 및 전화, 승진조건 지부장 회유 등 사내 정치공작 시행) ㅇ (‘15년) 메르스사태로 인한 실적부진시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돈벌이 강요로 공단 설립취지 위배 ㅇ (‘16년) 11월 3년 임기종료 후 탄핵정국 속에서 1년 임기연장, 국정농단세력 낙하산 인사 의혹 □ 서울대병원 서창석 병원장 ㅇ 임명시 최순실 일가 주치의 이임순 교수가 개입(특검 진술 내용) ㅇ 의료게이트 주범 김영재 원장을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교수로 임명, 김영재실(봉합사) 도입 과정에서 특혜를 주는 대가로 금품 수수 사실 확인 ㅇ 백남기 농민 사망진단서 조작 관여 의혹 □ 한국노동연구원 방하남 원장 ㅇ (박근혜 정부 초대 노동부 장관 재임시) 전교조 탄압 등 노조 파괴 진두지휘 ㅇ (장관 퇴임후) 노동개악과 불법적인 성과연봉제 강제도입을 옹호하며, 국정농단세력과 함께 노동정책을 망쳐 온 당사자로서 新정부 노동연구원 수장으로 부적절 □ 동서발전 박희성 사장 직무대행 ㅇ 성과연봉제 강제도입을 위한 불법행위 자행 및 미폐기 입장 견지(당분간 성과연봉제 유지하자며 조합원 회유 중)로 新정부 국정철학에 따른 정책수행 거부 ㅇ 이명박 정부에서 동서발전의 노무팀장으로서 발전노조 파괴를 직접 지휘, 대법원은 부당노동행위 책임 인정하여 3천만원 손해 배상 판결 □ 한국가스공사 이승훈 사장 ㅇ 성과연봉제 강제도입을 위한 불법행위 및 부당노동행위 자행(‘15.10월 합법 파업 참여 조합원 488명 대량 징계 등 정당한 노동활동에 묻지마 탄압, 법원의 무효 판결에도 항소 강행) ㅇ 거듭된 인사 실패와 청탁, 3년 연속 경영평가 낙제점의 책임을 다른 곳으로 전가하는 데만 급급한 무능 · 무책임경영을 지속 □ 대한법률구조공단 이헌 이사장 ㅇ (구)새누리당 추천 세월호 특조위 부위원장으로 특조위 활동을 주도적으로 방해 - (15.11 기자회견) 세월호 특조위가 정치적 놀음에만 골몰하는 일탈을 중단하지 않는다면 전원 총사퇴도 불사할 수밖에 없음. - (16.01) 유가족 고발 사주 논란 연루 ㅇ (‘16.02월 특조위 부위원장직 사퇴후) ‘16.05월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으로 임명 ㅇ (박근혜 전대통령 탄핵 과정시) 공공기관 기관장 신분으로 박전대통령 수차례 옹호 발언 - (16. 11)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요구는 민의에 정면 위반 - (16. 12) 세월호 7시간 의혹을 탄핵소추안 포함 시킨것은 매우 부적절, 박근혜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 법적 책임 없음.
공공기관 적폐청산 1호, 김정래 석유공사 사장을 즉각 퇴출하라
작성일 : 2017-07-13
공공기관 적폐청산 1호, 김정래 석유공사 사장을 즉각 퇴출하라 우리연맹과 한국석유공사노조(위원장 김병수)는 어제 오후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앞에서 석유공사노조 조합원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집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날 집회에는 우리연맹 박해철 위원장을 비롯한 수많은 회원조합 임원진 및 노조간부 동지들이 자리를 함께했으며, 공기업정책연대 소속노조에서도 찾아와 강력한 연대투쟁의 의지를 분명히 했습니다. 박해철 위원장은 대회사에서 “박근혜 정부의 대표적 낙하산 인사인 김정래 사장이 채용비리와 비선경영으로 공사를 부실하게 만들고 있다”면서 “공공기관장으로서 자질과 도덕성에 흠결이 있는 김정래 사장을 반드시 퇴출시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김정래 사장의 경영농단과 비선경영의 민낯을 널리 알려 산자부 장관의 임명이후 곧바로 퇴출시킬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어진 투쟁사에서 한국석유공사노조 김병수 위원장은 “김정래 사장이 공기업 사장으로서 지켜야 할 투명경영과 책임경영의 가치를 현저히 훼손해왔다”면서 “잘못된 경영으로 국민 재산이 부실하게 처분되거나 투기자본의 먹잇감이 된다면 국가에도 큰 위협이기에 김정래 사장을 즉각 경질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한편, 집회 말미 석공노조 김병수 위원장은 무대위로 올라와 삭발의식을 통해 결연한 의지와 물러섬 없는 투쟁을 다짐했습니다. 이어 우리연맹 박해철 위원장과 김병수 석공노조 위원장은 두 손을 맞잡고 산자부를 찾아가 '김정래 사장 경질 촉구서한'을 전달하기도 했습니다. 앞으로 연맹에서는 김정래 사장의 경영농단과 비선경영 등 실상을 각계각층에 널리 알리기 위한 활동에 집중하면서 압박을 이어가면서, 신임 산자부장관의 임명 즉시 면담자리를 갖고 김정래 사장의 즉각 퇴출을 강력히 요구한다는 계획입니다. 관련 기사를 첨부합니다. [뉴시스] 김정래 한국석유공사 사장 '퇴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3&aid=0008064734&sid1=001 [전기신문] 공공노련, 김정래 석유공사 사장 퇴진 결의대회 http://www.electimes.com/article.php?aid=1499904203146334004 [이비뉴스] 석유공사 김병수 노조위원장 삭발한 까닭 http://m.ebn.co.kr/news/view/900559 [뉴스핌] 석유공사 김정래 사장이 '적폐청산 1호'? 무슨 일이 있었기에... http://m.newspim.com/news/view/20170712000194 [매일노동뉴스] 석유공사 동자들 "김정래 사장 경질하라"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5615
최저임금 1만원 쟁취! 한국노총 결의대회
작성일 : 2017-06-30
우리연맹은 금일 오후 3시 세종시 고용노동부 앞에서 한국노총이 개최한 ‘최저임금 1만원 쟁취! 결의대회’에 참가했다. 이날 결의대회에는 한국노총 조합원 600여명이 참석하였고 최저임금 대폭인상과 재벌대기업 갑질 근절, 소득불평등 등을 촉구했다. 김명환 부위원장은 이날 대회사를 통해 “최저임금 1만원은 시대의 흐름이자 사회적 요구이며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면서 “국민이 원하고 대통령이 약속한 만큼 가장 먼저 해결해야할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최저임금 1만원이 의미하는 본질은 가장 낮은 곳에서 누구나 기피하는 힘든 일을 하면서도 노동의 대가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해왔던 최저임금 노동자에게 생계비라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임금을 주자는 것”이라며 “최저임금 인상을 통해 내수를 살리고 구매력을 되살려야 영세 자영업자는 물론 경제도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소상공인이 겪어온 고충과 부담경감을 위한 한국노총의 활동도 소개했다. 김 부위원장은 “영세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죽이고 있는 것은 천정부지의 임대료 부담, 원청의 횡포와 갑질, 과당경쟁”이라면서 “한국노총은 재벌대기업의 갑질을 근절하고, 영세자영업자와 소상공인도 상생할 수 있는 종합적인 제도개선책을 정부에 건의했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평균임금의 30% 수준의 낮은 최저임금으로는 불평등, 저임금 문제를 해소할 수 없다”며 “일을 하면서도 먹고 살 걱정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비참한 현실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서라도 최저임금을 대폭 인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결의대회가 진행되는 동안 최저임금위원회에서는 제6차 전원회의가 진행됐다. 지난 5차 회의까지 사용자 위원들이 최저임금인상 최초요구안 제출 하지 않아 논의는 여전히 답보상태다. 영세자영업자·소상공인 지원 관련 제도개선 논의도 사측의 반대로 진행되지 못했으며 한국노총의 공개회의 전환 요구도 사측의 반발로 무산됐다.
처음
이전
171
페이지
열린
172
페이지
173
페이지
174
페이지
175
페이지
176
페이지
177
페이지
178
페이지
179
페이지
180
페이지
다음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