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쟁속보 제2호 - 전 조합원 총력투쟁으로 노예연봉제ㆍ쉬운해고제 막아내자!
- 작성일
- 2016-04-11 18:01:07
- 작성자
- 운영자
공공노련, 조합원 5,000여명 운집한 가운데 총력투쟁 결의대회 개최

한국노총 전국공공산업노동조합연맹(위원장 김주영)은 4월 9일 오후 2시 서울역 광장에서 ‘공공노련 조합원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정부가 추진 중인 공공기관 성과연봉제(노예연봉제)와 저성과자 퇴출제(쉬운해고제)를 전 조합원의 총력투쟁으로 분쇄할 것을 결의했다.
아울러 각종 지침과 이른바 ‘정상화 대책’을 통해 추진 중인 공공기관 노동개악을 중단하고,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와 청년일자리 창출 등 공공성 확대를 통한 좋은 일자리 확대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김주영 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박근혜 정부의 공공노동자 탄압이 도를 넘어 학살 수준에 이르렀다”며 “국가의 기반인 공공서비스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을 공공의 적으로 규정하고 정책실패의 희생양으로 삼으려는 정부의 모습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성토했다.
이어 “복지축소와 임금피크제 문제와 달리 성과연봉제와 퇴출제는 공공기관을 파탄내고 노조의 존립조차 위협할 중차대한 사안”이라며 “경영평가를 앞세운 기재부와 사측의 줄세우기 분열전략에 흔들리지 말고 끝까지 버티겠다는 각오로 투쟁하면 반드시 승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올바른 공공기관 개혁을 위해 노동계와의 대화에 나설 것을 정부측에 요구한다”면서 “만약 대화요구를 끝내 거부하고 잘못된 정부정책을 강행한다면, 공공노련 전 조합원은 경평불이익과 임금동결을 감수하고 파업까지 불사하는 투쟁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대회에서 격려사에 나선 한국노총 김동만 위원장은 “공기업은 본래 국민을 위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며 “세월호 참사와 같은 국민의 안전과 생명이 위협받는 비극이 되풀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경쟁과 수익을 중시하는 것보다 공공성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조 조상수 위원장도 연대사를 통해 우리 연맹의 투쟁에 대한 지지와 적극적인 연대의지를 표명했다.
이어 연맹 소속 회원조합 중 공기업 1군 대표자 6명이 대표로 투쟁결의문을 낭독했다. 대회에 참석한 조합원들은 공공성과 생존권 사수를 위해 경평불이익과 임금동결도 불사할 것이며, 성과연봉제·퇴출제 지침이 폐기될 때까지 함께 투쟁할 것을 결의했다. 아울러 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와 좋은 일자리 창출, 정부와 사측의 불법행위 중단 및 노동조합과의 직접 대화 등을 정부에 촉구했다.
연맹 김주영 위원장은 조합원들이 파업가를 제창하는 동안 연단에서 삭발식을 벌이며 조합원의 단결을 촉구하고, 조합원의 생존권과 노동조합의 존폐를 건 이번 투쟁에서 반드시 승리하겠다는 결의를 내보였다.
이날 전국각지에서 모인 5,000여 조합원들은 집회이후 서울역을 출발 을지로를 거쳐 한빛광장까지 ‘협력이 경쟁력이다’, ‘공공성 훼손하는 성과경쟁 중단하라’는 현수막을 들고 가두행진을 벌였다.
우리연맹은 지난 4월 1일 세종시 기획재정부 앞에서 회원조합 간부 400여명이 모여 투쟁선포식을 개최하고, 경평불이익과 임금동결을 불사하고 투쟁하겠다는 3만여 조합원의 서명결의서를 기재부에 전달한 바 있다. 또한 교섭권 연맹 위임과 특별투쟁기금조성 등 강력한 대정부 투쟁을 위한 준비 작업도 순조로이 진행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