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맹 대표단, 국제노동계에 한국상황 전파하고 연대와 지지 호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공공노련 작성일16-10-11 16:31관련링크
본문
[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
[/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gallery type="flexslider_fade" interval="3" images="4627,4623,4632,4631,4633,4628,4629,4625,4624,4622,4626" onclick="link_image" custom_links_target="_self" img_size="full"][/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연맹 대표단은 전 세계 5천만 공공노동자가 소속된 국제공공노련(PSI) 아시아-태평양지역 총회에 참석해 한국의 공공부문 노조가 처한 어려움을 설명하고, 국제노동계의 적극적인 연대행동과 지지를 요청했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특히 김주영 위원장은 PSI의 요청으로 진행된 발표를 통해 한국전력산업 구조개편 과정과 현재 정부가 추진중인 에너지공기업 기능조정(민영화)정책이 가진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설명했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국제공공노련도 '한국정부는 공공부문 노조에 가하고 있는 부당한 공격과 폭력적인 행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불법적인 성과연봉제와 해고제, 그리고 민영화 정책을 저지하기 위한 한국 공공부문 노동자들의 투쟁에 전폭적인 지지를 선언한다'고 밝혔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아울러 "이러한 요구사항을 담은 공식 서한을 한국정부에 보내는 한편 전 세계적인 연대 캠페인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ILO, ITUC 등에도 이러한 상황을 적극적으로 알려 한국정부에 압박을 가하겠다"고도 약속했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우리 연맹은 지속적으로 국제적 공조체계를 조직하고 실효성있는 연대행동을 추진해, 정부의 성과체제와 민영화 정책 분쇄를 위한 투쟁을 다각적으로 벌여나간다는 방침이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이번 총회에는 공공부문 탄압에 맞서 우리 연맹과 함께 투쟁하고 있는 공공운수노조, 보건의료노조, 공무원노조도 참가해 연대활동과 선전캠페인을 함께 했다.[/vc_column_text][/vc_column][/vc_row]
"강압적 성과연봉제와 전방위적인 노동탄압, 기능조정 빙자한 민영화 음모... 한국상황 매우 심각하다
[/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gallery type="flexslider_fade" interval="3" images="4627,4623,4632,4631,4633,4628,4629,4625,4624,4622,4626" onclick="link_image" custom_links_target="_self" img_size="full"][/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연맹 대표단은 전 세계 5천만 공공노동자가 소속된 국제공공노련(PSI) 아시아-태평양지역 총회에 참석해 한국의 공공부문 노조가 처한 어려움을 설명하고, 국제노동계의 적극적인 연대행동과 지지를 요청했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특히 김주영 위원장은 PSI의 요청으로 진행된 발표를 통해 한국전력산업 구조개편 과정과 현재 정부가 추진중인 에너지공기업 기능조정(민영화)정책이 가진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설명했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국제공공노련도 '한국정부는 공공부문 노조에 가하고 있는 부당한 공격과 폭력적인 행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불법적인 성과연봉제와 해고제, 그리고 민영화 정책을 저지하기 위한 한국 공공부문 노동자들의 투쟁에 전폭적인 지지를 선언한다'고 밝혔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아울러 "이러한 요구사항을 담은 공식 서한을 한국정부에 보내는 한편 전 세계적인 연대 캠페인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ILO, ITUC 등에도 이러한 상황을 적극적으로 알려 한국정부에 압박을 가하겠다"고도 약속했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우리 연맹은 지속적으로 국제적 공조체계를 조직하고 실효성있는 연대행동을 추진해, 정부의 성과체제와 민영화 정책 분쇄를 위한 투쟁을 다각적으로 벌여나간다는 방침이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이번 총회에는 공공부문 탄압에 맞서 우리 연맹과 함께 투쟁하고 있는 공공운수노조, 보건의료노조, 공무원노조도 참가해 연대활동과 선전캠페인을 함께 했다.[/vc_column_text][/vc_column][/vc_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