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직원 성과연봉제 저지위한 투쟁계획 수립
페이지 정보
작성자 공공노련 작성일15-12-14 20:31관련링크
본문
[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
[/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single_image image="3146" border_color="grey" img_link_large="" img_link_target="_self" img_size="full"][/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우리 연맹은 금일 오후 한국노총 13층 컨벤션 홀에서 대표자 회의를 개최하고 정부의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확대 시행 방침에 대응하기 위한 투쟁계획을 논의했습니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참석한 회원조합 대표자들은 성과연봉제 전면도입이 업무강도 증가, 임금삭감 등 대다수 조합원의 근로여건을 저하 시키는 것은 물론, 공공기관이 단기성과 및 수익성을 중시하는 수익성 업무에 집중할 경우 공공서비스의 질 또한 저하 될 것이라는 데 공감하고, 정부의 일방적인 성과연봉제 확대 추진계획 철회를 요구하는 것과 동시에 이를 저지하기 위한 총력 투쟁에 나서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무엇보다 성과연봉제가 노동조합 단체교섭 및 존재의의 자체를 부정하고 나아가 퇴출제 등 쉬운해고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점에 심각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우리 연맹은 한국노총과 함께 성과연봉제 지침 발표 전까지 최대한 국회 및 정부를 압박하는 정책 활동을 벌이고, 내년도 총선국면을 활용해 각 정당이 연맹의 요구사항을 공약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협상도 병행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성과연봉제와 퇴출제의 심각성을 조합원들이 쉽게 납득하고 이를 현장 투쟁동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세밀한 투쟁전략을 기반으로 한 교육/홍보선전 활동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회원조합 전 간부 결의대회, 순회간담회 및 조합원 설명회, 현장 실천투쟁 등 쟁의권 확보 및 총파업 투쟁까지도 염두에 둔 투쟁 조직 활동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연맹 김주영 위원장은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도입과 기능조정 등 2단계 정상화 대책의 시행을 앞둔 만큼, 지난 2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국민의 호응을 얻을 수 있는 투쟁 전략이 필요하다”며 “정부 정책의 구체적인 시행일정에 맞춰 회원조합 대표자들과의 지속적 소통과 논의를 통해 현장의 의견이 수렴되는 투쟁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말했습니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회의에 참여한 대표자들도 성과연봉제 대응 프레임 선정과 총선 시기에 맞춘 정책 활동, 연대투쟁의 필요성, 국민 우호여론 향상 방안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연맹 집행부에서는 제시된 의견을 금일 심의한 투쟁계획에 반영하여 차기 대표자 회의에서 보다 정교하게 논의를 지속할 수 있도록 준비할 계획입니다.[/vc_column_text][/vc_column][/vc_row]
세부 시행안 지속 논의키로...
[/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single_image image="3146" border_color="grey" img_link_large="" img_link_target="_self" img_size="full"][/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우리 연맹은 금일 오후 한국노총 13층 컨벤션 홀에서 대표자 회의를 개최하고 정부의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확대 시행 방침에 대응하기 위한 투쟁계획을 논의했습니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참석한 회원조합 대표자들은 성과연봉제 전면도입이 업무강도 증가, 임금삭감 등 대다수 조합원의 근로여건을 저하 시키는 것은 물론, 공공기관이 단기성과 및 수익성을 중시하는 수익성 업무에 집중할 경우 공공서비스의 질 또한 저하 될 것이라는 데 공감하고, 정부의 일방적인 성과연봉제 확대 추진계획 철회를 요구하는 것과 동시에 이를 저지하기 위한 총력 투쟁에 나서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무엇보다 성과연봉제가 노동조합 단체교섭 및 존재의의 자체를 부정하고 나아가 퇴출제 등 쉬운해고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점에 심각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우리 연맹은 한국노총과 함께 성과연봉제 지침 발표 전까지 최대한 국회 및 정부를 압박하는 정책 활동을 벌이고, 내년도 총선국면을 활용해 각 정당이 연맹의 요구사항을 공약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협상도 병행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성과연봉제와 퇴출제의 심각성을 조합원들이 쉽게 납득하고 이를 현장 투쟁동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세밀한 투쟁전략을 기반으로 한 교육/홍보선전 활동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회원조합 전 간부 결의대회, 순회간담회 및 조합원 설명회, 현장 실천투쟁 등 쟁의권 확보 및 총파업 투쟁까지도 염두에 둔 투쟁 조직 활동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연맹 김주영 위원장은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도입과 기능조정 등 2단계 정상화 대책의 시행을 앞둔 만큼, 지난 2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국민의 호응을 얻을 수 있는 투쟁 전략이 필요하다”며 “정부 정책의 구체적인 시행일정에 맞춰 회원조합 대표자들과의 지속적 소통과 논의를 통해 현장의 의견이 수렴되는 투쟁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말했습니다.[/vc_column_text][vc_empty_space height="32px"][/vc_column][/vc_row][vc_row fullwidth="false" attached="false" padding="0" visibility="" animation=""][vc_column border_color="" visibility="" width="1/1"][vc_column_text disable_pattern="true" align="left" margin_bottom="0"]회의에 참여한 대표자들도 성과연봉제 대응 프레임 선정과 총선 시기에 맞춘 정책 활동, 연대투쟁의 필요성, 국민 우호여론 향상 방안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연맹 집행부에서는 제시된 의견을 금일 심의한 투쟁계획에 반영하여 차기 대표자 회의에서 보다 정교하게 논의를 지속할 수 있도록 준비할 계획입니다.[/vc_column_text][/vc_column][/vc_row]